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컴퓨터고장12

듀얼 모니터 중 하나만 갑자기 신호 없음(No Signal)으로 나올 때 어제까지 멀쩡하게 잘 사용하던 듀얼 모니터. 그런데 오늘 아침 컴퓨터를 켜니 메인 모니터는 정상적으로 켜지는데, 옆에 있던 보조 모니터만 ‘신호 없음(No Signal)’이라는 메시지를 띄운 채 검은 화면만 보여줍니다. ‘모니터가 고장 났나?’, ‘그래픽카드가 망가졌나?’ 하는 불안감에 케이블을 뺐다 꼈다 해보지만 상황은 나아지지 않죠. 하지만 너무 서둘러 모니터 AS를 신청할 필요는 없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이건 여러분의 모니터나 그래픽카드에 심각한 문제가 생겼을 확률보다, 아주 사소한 ‘접촉 불량’이나 ‘설정 꼬임’ 때문일 가능성이 90% 이상입니다. 그리고 이 문제는 몇 단계의 간단한 점검만으로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1단계: 가장 기본이자 최고의 해결책, 케이블 재연결 컴퓨터 문제 해결.. 2025. 8. 25.
윈도우 레지스트리 백업 및 복원, 시스템 변경 전 필수 안전장치 컴퓨터 속도를 높이는 팁이나, 숨겨진 기능을 활성화하는 방법을 따라 하다 보면 어김없이 '레지스트리 편집기'라는 낯선 이름과 마주치게 됩니다. 경고 메시지와 함께 등장하는 복잡한 폴더 구조 앞에서, "이걸 정말 건드려도 괜찮을까?" 하는 두려움에 창을 닫아버린 경험, 다들 있으시죠? 결론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레지스트리를 변경하는 것은 윈도우라는 거대한 기계의 '심장 수술'과 같습니다. 정확한 지식 없이 함부로 만지면, 컴퓨터가 부팅조차 되지 않는 최악의 상황을 맞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위험한 수술을 시작하기 전, 우리는 반드시 '백업'이라는 가장 중요하고 확실한 '안전장치'를 마련해 두어야 합니다. 레지스트리, 윈도우의 '설계도'이자 '기억 저장소' '레지스트리'라는 단어가 어렵게 느껴지시나요? .. 2025. 8. 17.
블루스크린 덤프(Dump) 파일 분석으로 진짜 원인 찾기 (WinDbg) "퍽!" 하는 소리와 함께 눈앞에 펼쳐진 파란 화면. 알 수 없는 영어와 에러 코드 앞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그저 재부팅 버튼을 누르는 것뿐입니다. 인터넷에 에러 코드를 검색해 봐도 "드라이버를 업데이트하세요", "RAM을 점검하세요" 같은 뜬구름 잡는 답변만 돌아와 답답하셨을 겁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당신의 컴퓨터는 갑자기 멈추기 직전, 마지막 힘을 다해 '블랙박스'와 같은 파일을 남겨놓았습니다. 바로 '덤프(Dump) 파일'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공하는 무료 분석 도구 'WinDbg'를 이용하면, 우리는 이 블랙박스를 열어 파란 화면의 진짜 원인이 된 '범인'을 우리 손으로 직접 찾아낼 수 있습니다. 내 컴퓨터가 남긴 마지막 유언, '덤프 파일' 블루스크린이 뜨는 순간, 우리 .. 2025. 8. 14.
갑작스러운 정전, 내 컴퓨터 부품을 보호하는 방법 (UPS의 필요성) 중요한 문서 작업을 하거나, 한창 재미있는 게임에 몰입하던 그 순간, "퍽!" 하는 소리와 함께 모니터가 암전되는 끔찍한 경험, 다들 한 번쯤 있으시죠? 단순히 작업 내용이 날아간 것에 대한 허탈함을 넘어, '내 소중한 컴퓨터가 고장 나진 않았을까?' 하는 불안감이 엄습합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그 불안감은 현실이 될 수 있습니다. 갑작스러운 전원 차단은 단순한 불편함을 넘어, 당신의 값비싼 컴퓨터 부품 수명을 갉아먹는 조용한 암살자입니다. 그리고 이 암살자로부터 내 PC를 지켜줄 가장 확실한 보디가드가 바로 'UPS(무정전전원장치)'입니다. 단순 멀티탭만으로는 부족한 이유 많은 분들이 서지(surge) 기능이 있는 멀티탭을 사용하고 있으니 괜찮다고 생각하지만, 이는 절반만 맞는 이야기입니다. 서지.. 2025. 8. 12.
USB 포트가 갑자기 작동하지 않을 때, 드라이버와 전원 관리 설정 점검 어제까지 잘만 되던 USB 포트가 오늘 갑자기 먹통이 되어 당황했던 경험, 다들 있으시죠? 키보드도, 마우스도, 심지어 중요한 파일이 담긴 USB 메모리까지 아무런 반응이 없어 "내 컴퓨터 메인보드가 고장 났나?" 하며 가슴이 철렁 내려앉았을 겁니다. 서비스 센터에 달려가기 전, 단 5분만 투자해 보세요. 대부분의 경우, 이 문제는 심각한 하드웨어 고장이 아닌, 윈도우의 '드라이버' 꼬임이나 '전원 관리' 설정 오류 때문에 발생하는 아주 사소한 '헤프닝'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오늘, 당신의 먹통이 된 USB 포트를 되살리는 두 가지 간단한 심폐소생술을 알려드리겠습니다. 가장 간단한 첫걸음, '재부팅'의 마법 "컴퓨터가 이상하면 껐다 켜라"는 말, 우스갯소리처럼 들리지만 사실 가장 강력한 해결책 중 하나입.. 2025. 8. 6.
'검은 화면'에 커서만 깜빡일 때, 원인과 대처법 PC 전원 버튼을 눌렀는데, 익숙한 윈도우 로고 대신 칠흑 같은 어둠 속에서 하얀 커서만 외롭게 깜빡이고 있나요? 아무리 기다려도 아무런 변화가 없는 이 상황은, 컴퓨터가 보내는 가장 심각한 구조 신호 중 하나입니다. 많은 분이 이 순간, PC가 완전히 고장 났다고 생각하며 눈앞이 캄캄해지죠. 하지만 섣불리 절망하기는 이릅니다. 이 현상은 하드웨어의 물리적인 고장일 수도 있지만, 윈도우 부팅 파일이 손상되거나 주변 기기와의 충돌로 발생하는 소프트웨어 문제일 가능성도 충분합니다. 핵심은 당황하지 않고, 가장 간단한 점검부터 차례대로 시도하여 문제의 원인을 찾아내는 것입니다. 1. 가장 첫 번째 용의자, 주변 기기 충돌 컴퓨터가 윈도우를 불러오기 전에, 연결된 모든 주변 장치들을 먼저 확인하는 과정을 거칩니.. 2025. 7.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