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DRAM-less SSD, 정말 피해야 할까? (HMB 기술의 이해)

by 디레인 2025. 8. 20.
반응형

DRAM-less SSD, 정말 피해야 할까? (HMB 기술의 이해)

 

가성비 좋은 SSD를 찾아 헤매던 당신. 비슷한 용량과 속도인데 유독 저렴한 제품을 발견하고 상세 정보를 살펴보니, 'DRAM-less(디램리스)'라는 낯선 단어가 눈에 들어옵니다.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는 "디램리스는 무조건 걸러라"는 무서운 경고가 가득하고, 당신은 "싼 게 비지떡인가?" 하는 불안감에 결제 버튼 앞에서 망설이게 됩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과거에는 그 말이 맞았습니다. 하지만 'HMB(Host Memory Buffer)'라는 구원 기술이 등장한 지금, DRAM-less SSD는 더 이상 무조건 피해야 할 '불량 감자'가 아닙니다. 오히려 90%의 일반 사용자에게는 불필요한 비용을 줄여주는 아주 '똑똑하고 합리적인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DRAM 캐시', SSD의 '똑똑한 비서'

'DRAM 캐시', SSD의 '똑똑한 비서''DRAM 캐시', SSD의 '똑똑한 비서'

 

먼저 'DRAM 캐시'가 SSD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부터 간단히 알아야 합니다. SSD를 거대한 '도서관'이라고 상상해 보세요. DRAM 캐시는 이 도서관의 모든 책(데이터)이 어디에 꽂혀있는지를 기록해 둔 '도서 목록집'을 관리하는 아주 똑똑한 '사서 비서'와 같습니다.

 

우리가 특정 파일을 찾을 때, 이 똑똑한 비서 덕분에 거대한 도서관을 다 뒤질 필요 없이, 도서 목록집만 보고 바로 책의 위치를 찾아낼 수 있습니다. 이 덕분에 여러 작업을 동시에 하거나 자잘한 파일을 많이 읽고 쓸 때도 빠른 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죠. 'DRAM-less' SSD는 바로 이 '사서 비서'가 없는 도서관입니다.

 

'DRAM-less'의 과거, 왜 느렸을까?

'DRAM-less'의 과거, 왜 느렸을까?'DRAM-less'의 과거, 왜 느렸을까?

 

사서 비서가 없는 도서관에서는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책을 찾을 때마다 매번 도서관 전체를 뒤져야 하니, 당연히 속도가 느려질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여러 사람이 동시에 책을 찾아달라고 요청하면(다중 작업) 도서관은 거의 마비 상태에 빠지게 됩니다.

 

이것이 바로 초창기 DRAM-less SSD가 성능 저하 문제로 외면받았던 이유입니다. 특히, 운영체제(OS)를 설치하고 메인 드라이브로 사용할 경우, 자잘한 파일을 끊임없이 읽고 써야 하기 때문에 답답한 속도를 보여주었습니다. 그래서 "디램리스는 데이터 저장용으로나 써라" 라는 말이 나온 것입니다.

 

구세주 등장! 'HMB'라는 마법

구세주 등장! 'HMB'라는 마법구세주 등장! 'HMB'라는 마법

 

하지만 기술은 끊임없이 발전했습니다. 엔지니어들은 "SSD에 비싼 비서를 둘 수 없다면, 컴퓨터의 메인 비서를 잠시 빌려 쓰면 어떨까?" 라는 아주 기발한 아이디어를 떠올립니다. 이것이 바로 'HMB(Host Memory Buffer)' 기술입니다.

 

HMB는 SSD가 도서 목록집을 저장하기 위해, 컴퓨터의 메인 메모리, 즉 '시스템 RAM'의 아주 작은 일부(보통 수십MB)를 빌려와 사용하는 기술입니다. 마치 도서관에 상주하는 비서는 없지만, 필요할 때마다 본사의 유능한 비서(RAM)에게 전화를 걸어 "그 책 어디 있나요?"라고 물어보는 것과 같습니다. 이 똑똑한 기술 덕분에, 최신 DRAM-less SSD는 더 이상 과거의 '느림보'가 아니게 되었습니다.

 

DRAM-less, 이럴 때 선택하면 최고!

DRAM-less, 이럴 때 선택하면 최고!DRAM-less, 이럴 때 선택하면 최고!DRAM-less, 이럴 때 선택하면 최고!

 

HMB 기술이 적용된 최신 DRAM-less SSD는, 일반적인 사용 환경에서는 DRAM이 있는 SSD와 거의 차이를 느끼기 어려운 수준까지 성능이 향상되었습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사용자에게는 최고의 '가성비'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

 

  • 웹서핑, 문서 작업, 영상 시청이 주된 사용자: 이런 일상적인 작업에서는 SSD의 극한 성능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DRAM-less로도 충분히 쾌적합니다.
  • 게이밍 PC의 서브 드라이브: 운영체제는 DRAM이 있는 SSD에 설치하고, 게임 설치 전용 '세컨드 드라이브'로 사용한다면, DRAM-less SSD는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여주는 최고의 선택입니다.
  • 외장 SSD 제작: 데이터를 보관하고 이동하는 용도의 외장 SSD로는, DRAM-less 제품이 가격 부담을 크게 덜어줍니다.

 

그럼에도, 'DRAM'이 더 좋은 경우

그럼에도, 'DRAM'이 더 좋은 경우그럼에도, 'DRAM'이 더 좋은 경우그럼에도, 'DRAM'이 더 좋은 경우

 

물론 그렇다고 해서 DRAM 캐시가 완전히 필요 없어진 것은 아닙니다. 여전히 다음과 같은 '헤비 유저'에게는 전용 사서 비서가 있는, 즉 DRAM이 탑재된 SSD가 더 나은 성능과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4K 영상 편집이나 3D 렌더링처럼, 수십~수백 GB에 달하는 거대한 파일을 끊임없이 읽고 써야 하는 '전문가'에게는 DRAM 캐시의 유무가 작업 속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수많은 사용자의 요청을 동시에 처리해야 하는 '서버'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보장하는 DRAM 탑재 SSD는 필수적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DRAM-less SSD, 정말 피해야 할까? (HMB 기술의 이해)

 

Q. HMB 기술은 어떻게 켜는 건가요?
A. 별도의 설정은 필요 없습니다. 최신 윈도우 10/11 운영체제와 NVMe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메인보드 환경이라면, HMB 기능이 있는 DRAM-less SSD를 장착하는 순간 자동으로 활성화됩니다.

 

Q. 그럼 운영체제(OS) 설치용 메인 드라이브로 DRAM-less를 써도 정말 괜찮나요?
A. 네, 대부분의 일반 사용자에게는 전혀 문제없습니다. HMB 기술 덕분에 부팅 속도나 프로그램 실행 속도에서 DRAM이 있는 제품과 유의미한 차이를 체감하기 어렵습니다.

 

Q. TLC, QLC와는 다른 개념인가요?
A. 네, 완전히 다른 개념입니다. TLC/QLC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셀)'의 종류를 의미하고, DRAM 유무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비서'의 유무를 의미합니다. 'DRAM이 있는 TLC', 'DRAM이 없는 TLC', 'DRAM이 없는 QLC' 등 다양한 조합이 가능합니다.

 

추가 정보 및 도움이 되는 자료

  1. HMB 지원하는 DRAM-Less NVMe SSD 성능 평가 - ScienceON 논문
    DRAM 없는 SSD 단점과 HMB(Host Memory Buffer) 기술을 통한 성능 보완 효과를 실험적으로 분석한 논문입니다.
  2. [HBM 파헤치기] HBM 메모리 개요 필요성, 기존 DRAM 메모리와의 차이점 - Seongyun Dev 블로그
    고대역폭 메모리(HBM) 기본 원리와 기존 DRAM과의 구조적 차이 성능 특성을 쉽게 설명한 글입니다.
  3. DRAM SSD DRAM-Less SSD 아키텍처 비교 분석 - Advantech
    DRAM
    탑재된 SSD 없는 SSD 아키텍처 차이를 비교하며, 각각의 장단점과 성능 차이에 관한 기술적 설명이 자세합니다.
  4. NVMe SSD DRAM 필요한 이유? PCIe 3.0 DRAM vs PCIe 4.0 DRAM-less 분석 - ilovepc
    DRAM SSD 성능에 미치는 영향, HMB 기술이 도입된 SSD 성능 개선 가능성, 실제 사용 고려사항을 분석합니다.
  5. AI 산업에 필요한 HBM 특징과 사용하는 이유 - DevOcean 블로그
    AI
    고성능 컴퓨팅 분야에서 HBM 메모리가 중요한지, 대역폭과 에너지 효율성 측면에서의 특징을 상세히 소개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