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블루스크린, 이제 당황하지 마세요! 원인 코드별 대처 방법

by 디레인 2025. 7. 11.
반응형

 

중요한 과제를 하거나 게임에 한창 몰두하고 있는데, 갑자기 파란 화면이 모니터를 가득 채우며 컴퓨터가 멈춰버린 경험, 생각만 해도 아찔하죠? '죽음의 파란 화면'이라고 불리는 블루스크린(BSOD)은 많은 컴퓨터 사용자에게 공포의 대상입니다. 하지만 이 파란 화면은 사실 컴퓨터가 우리에게 보내는 중요한 신호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 예고 없는 시스템 오류에 당황해 전원 버튼부터 누르지만, 이는 문제 해결의 기회를 놓치는 행동입니다. 오늘 이 글에서는 더 이상 파란색 경고창 앞에서 속수무책으로 당황하지 않도록, 화면에 나타나는 단서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직접 해결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파란 화면, 겁먹기 전에 사진부터!

 

블루스크린이 나타나면 화면 가득 영어로 된 글씨들이 나타나지만, 우리가 주목해야 할 부분은 정해져 있습니다. 화면 하단에 보이는 ‘중지 코드(Stop Code)’가 바로 문제 해결의 가장 핵심적인 열쇠입니다. 이 코드는 컴퓨터가 왜 멈출 수밖에 없었는지 그 이유를 알려주는 이름표와 같습니다.

 

하지만 이 화면은 잠시 나타났다가 컴퓨터가 자동으로 재부팅되며 사라져 버리기 때문에, 재빨리 기록해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럴 때 가장 확실한 해결책은 바로 스마트폰으로 화면 전체를 촬영해두는 것입니다. 중지 코드를 사진으로 남겨두면, 나중에 인터넷 검색을 통해 정확한 원인과 해결책을 찾는 데 결정적인 도움이 됩니다.

 

가장 흔한 불청객, 드라이버 충돌

 

컴퓨터에 연결된 여러 부품(하드웨어)들이 제대로 작동하도록 돕는 설명서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드라이버’라는 프로그램입니다. 그런데 새로 설치한 프로그램이나 윈도우 업데이트 이후, 이 드라이버들끼리 서로 충돌을 일으키면서 블루스크린이 발생하는 경우가 매우 흔합니다. DRIVER_IRQL_NOT_LESS_OR_EQUAL 같은 코드가 대표적입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충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문제가 발생하기 직전에 설치했던 드라이버를 이전 버전으로 되돌리거나 삭제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컴퓨터를 ‘안전 모드’로 부팅한 뒤, ‘장치 관리자’에 들어가 최근에 업데이트한 그래픽 카드나 사운드 카드 드라이버를 찾아 제거하거나 롤백을 시도해 보세요.

 

메모리(RAM) 문제, 혹시 이것 때문?

 

특별히 설치한 프로그램도 없는데 불규칙적으로 파란 화면이 계속 나타난다면, 컴퓨터의 단기 기억을 담당하는 부품인 메모리(RAM)의 문제를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메모리에 물리적인 오류가 있거나, 여러 개의 메모리 간 접촉 불량이 있을 때 MEMORY_MANAGEMENT 와 같은 코드가 자주 나타납니다.

 

가장 먼저 시도해 볼 수 있는 조치는 윈도우에 내장된 ‘메모리 진단 도구’를 실행하는 것입니다. 시작 메뉴에서 'Windows 메모리 진단'을 검색해 실행하면 시스템 재부팅 후 자동으로 메모리 상태를 점검해 줍니다. 만약 여기서 오류가 발견된다면, 컴퓨터 본체를 열어 메모리를 뺐다가 다시 꽂아보는 것만으로도 접촉 불량 문제가 해결되기도 합니다.

 

소프트웨어 충돌과 악성코드의 습격

 

새로운 백신 프로그램이나 보안 관련 소프트웨어를 설치한 뒤부터 컴퓨터가 불안정해졌다면, 기존 프로그램과의 충돌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또한, 바이러스나 악성코드에 감염되어 시스템의 핵심 파일이 손상된 경우에도 KERNEL_SECURITY_CHECK_FAILURE 같은 오류가 발생하며 시스템이 멈출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해결하려면 우선 안전 모드로 부팅해 최근에 설치한 의심스러운 프로그램을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후, 신뢰할 수 있는 백신 프로그램을 이용해 시스템 전체를 정밀 검사하여 숨어있는 악성코드를 찾아 치료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소프트웨어 문제는 이 과정에서 해결됩니다.

 

최후의 보루, 시스템 복원으로 시간 되돌리기

 

어떤 방법으로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원인 파악조차 어렵다면, 윈도우의 ‘시스템 복원’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마지막 희망이 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은 컴퓨터의 상태를 문제가 없었던 특정 시점으로 되돌려주는, 마치 타임머신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제어판의 ‘복구’ 메뉴를 통해 시스템 복원을 실행하고, 컴퓨터가 정상적으로 작동했던 날짜의 복원 지점을 선택해 진행하면 됩니다. 이 방법은 사진이나 문서 같은 개인 파일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문제가 되었던 프로그램이나 드라이버 설치 상태를 이전으로 되돌려 주기 때문에 복잡하게 얽힌 문제를 한 번에 해결해 주기도 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 블루스크린 화면이 너무 빨리 사라져서 코드를 확인할 수가 없어요.
A. 이럴 때는 ‘제어판 > 시스템 > 고급 시스템 설정 > 시작 및 복구’에서 ‘자동으로 다시 시작’ 항목의 체크를 해제해 주세요. 이렇게 하면 다음부터는 블루스크린이 발생해도 자동으로 재부팅되지 않고 멈춰있어, 코드를 확인하거나 사진을 찍을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습니다.

 

Q. 안전 모드로는 어떻게 들어가나요?
A. 윈도우 로그인 화면의 전원 버튼을 누른 뒤, Shift 키를 누른 상태로 ‘다시 시작’을 클릭하면 고급 시작 옵션으로 진입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문제 해결 > 고급 옵션 > 시작 설정 > 다시 시작’을 누른 후, 숫자 키 4번이나 F4 키를 눌러 안전 모드로 부팅할 수 있습니다.

 

Q. 모든 방법을 시도했는데도 계속 블루스크린이 떠요.
A. 소프트웨어적인 조치를 모두 취했음에도 문제가 지속된다면, 하드디스크(SSD/HDD), 메인보드, 파워 서플라이 등 하드웨어 자체의 고장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경우에는 개인이 해결하기 어려우므로, 전문 컴퓨터 수리점의 도움을 받아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추가 정보 및 도움이 되는 자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