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라즈베리 파이로 나만의 NAS 서버 구축하기 (초보자 가이드)

by 디레인 2025. 8. 5.
반응형

라즈베리 파이로 나만의 NAS 서버 구축하기 (초보자 가이드)

 

사진, 동영상, 중요한 문서 파일들.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내 소중한 자료들을 한곳에 안전하게 보관하고, 언제 어디서든 스마트폰이나 노트북으로 접속해서 꺼내보고 싶다는 생각, 한 번쯤 해보셨죠? 이럴 때 필요한 것이 바로 'NAS(Network Attached Storage)'입니다.

 

하지만 수십만 원을 호가하는 기성품 NAS의 가격표를 보고 조용히 창을 닫았던 경험, 다들 있으실 겁니다. 그런데 만약, 10만 원도 안 되는 가격의 '신용카드만 한 컴퓨터'로, 이 모든 기능을 구현하는 나만의 NAS 서버를 직접 만들 수 있다면 어떨까요? 그 마법 같은 일을 가능하게 해주는 주인공이 바로 '라즈베리 파이(Raspberry Pi)'입니다.

 

NAS가 뭐죠? '나만의 개인 클라우드'

NAS가 뭐죠? '나만의 개인 클라우드'NAS가 뭐죠? '나만의 개인 클라우드'

 

NAS라는 말이 어렵게 느껴진다면, 그냥 '인터넷에 연결된 나만의 외장 하드'라고 생각하면 아주 쉽습니다. 네이버 MYBOX나 구글 드라이브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와 비슷하지만, 내 데이터를 남의 회사 서버가 아닌, 바로 우리 집 내 손안에 안전하게 보관한다는 결정적인 차이가 있습니다.

 

내가 찍은 사진을 자동으로 백업하고, 영화를 스트리밍으로 감상하며, 여러 사람이 함께 파일을 공유하는 '나만의 개인 클라우드'를 만드는 것이죠. 라즈베리 파이는 바로 이 NAS의 '두뇌' 역할을 하는 초소형 컴퓨터입니다.

 

왜 '라즈베리 파이'일까?

왜 '라즈베리 파이'일까?왜 '라즈베리 파이'일까?

 

수많은 컴퓨터 중에 왜 하필 라즈베리 파이일까요? 가장 큰 이유는 두 가지입니다. 첫째, '압도적인 가성비'입니다. 라즈베리 파이는 교육용으로 개발된 컴퓨터라 가격이 매우 저렴합니다. 최신 모델인 라즈베리 파이 5도 10만 원 내외면 충분히 구매할 수 있습니다.

 

둘째, '초저전력'입니다. NAS는 24시간 내내 켜져 있어야 하는 서버입니다. 일반 데스크톱 PC로 NAS를 만들면, 전기 요금 폭탄을 맞을 수 있죠. 하지만 라즈베리 파이는 스마트폰 충전기 정도의 아주 적은 전력만으로도 작동하기 때문에, 1년 내내 켜두어도 전기 요금 걱정이 거의 없습니다.

 

준비물, 생각보다 간단해요

준비물, 생각보다 간단해요

 

나만의 NAS 서버를 만들기 위한 준비물은 생각보다 복잡하지 않습니다.

 

  1. 라즈베리 파이 본체: 현재 가장 성능이 좋은 '라즈베리 파이 5'를 추천합니다.
  2. 전원 어댑터 및 케이스: 안정적인 전원 공급과 열을 식혀줄 케이스는 필수입니다.
  3. 마이크로 SD카드: 라즈베리 파이의 운영체제(OS)를 설치할 저장 공간입니다. 16GB 이상이면 충분합니다.
  4. 외장 하드 또는 USB: 실제로 내 파일들을 저장할 메인 저장소입니다. 용량은 클수록 좋겠죠.

이 준비물들은 온라인 쇼핑몰에서 '라즈베리 파이 스타터 키트'와 같은 형태로 쉽게 구매할 수 있습니다.

 

가장 쉬운 NAS 만들기, 'OpenMediaVault' 설치하기

가장 쉬운 NAS 만들기, 'OpenMediaVault' 설치하기가장 쉬운 NAS 만들기, 'OpenMediaVault' 설치하기

 

"리눅스 명령어 같은 어려운 거 해야 하는 거 아니에요?" 라는 걱정, 잠시 내려놓으셔도 좋습니다. 우리에게는 복잡한 명령어 없이도, 마우스 클릭 몇 번만으로 NAS의 모든 기능을 설정할 수 있게 해주는 'OpenMediaVault(OMV)'라는 놀라운 무료 소프트웨어가 있습니다.

 

OMV는 라즈베리 파이를 위한 NAS 전용 운영체제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라즈베리 파이 공식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Raspberry Pi Imager'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해, SD카드에 OMV를 설치하는 과정은 10분도 채 걸리지 않습니다. 이 과정에 대한 자세한 가이드는 라즈베리 파이 공식 문서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라즈베리 파이 홈페이지 바로가기

 

이제 당신도 '서버 관리자'

이제 당신도 '서버 관리자'이제 당신도 '서버 관리자'

 

OMV 설치가 끝나고, 라즈베리 파이를 인터넷 공유기에 연결한 뒤 전원을 켜면 모든 준비는 끝납니다. 이제 당신의 PC 웹 브라우저에서 라즈베리 파이의 내부 IP 주소로 접속하면, OMV의 관리자 화면이 당신을 맞이할 겁니다.

 

이곳에서 당신은 마치 전문 서버 관리자처럼, 사용자를 추가하고, 공유할 폴더를 만들며, 각 사용자에게 읽기/쓰기 권한을 부여하는 모든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조금 낯설 수 있지만, 하나씩 기능을 알아가는 재미는 직접 조립한 컴퓨터를 처음 켰을 때의 뿌듯함과도 같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라즈베리 파이로 나만의 NAS 서버 구축하기 (초보자 가이드)

 

Q. 라즈베리 파이 NAS, 속도는 쓸만한가요?
A. 솔직히 말해, 수십만 원짜리 기성품 NAS만큼 빠르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가정 내에서 사진을 백업하거나, 1080p 고화질 영화를 스트리밍으로 감상하는 용도로는 전혀 부족함이 없는 충분한 성능을 보여줍니다.

 

Q. 외부, 즉 집 밖에서도 접속할 수 있나요?
A. 네, 가능합니다. DDNS(Dynamic DNS) 설정이나, Tailscale, ZeroTier와 같은 VPN 서비스를 이용하면, 외부에서도 안전하게 내 NAS에 접속하여 파일을 올리고 내려받을 수 있습니다. 초기 설정이 조금 필요하지만, 관련 정보는 인터넷에서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Q. 안정성은 괜찮을까요? 데이터가 날아갈까 봐 걱정돼요.
A. 라즈베리 파이 자체는 매우 안정적이지만, 모든 저장 장치는 고장의 위험이 있습니다. NAS를 사용하더라도, 정말 중요한 자료는 클라우드 서비스나 다른 외장 하드에 '이중 백업'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추가 정보 및 도움이 되는 자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