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드라이버 충돌, 어떤 장치가 문제인지 찾아내는 방법

by 디레인 2025. 7. 17.
반응형

 

잘 되던 컴퓨터가 갑자기 멈추거나, 파란 화면(블루스크린)을 띄우며 재부팅될 때, 우리는 덜컥 겁부터 먹게 됩니다. "컴퓨터가 고장 났나?", "수리 센터에 가야 하나?" 하는 걱정이 앞서죠.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이는 하드웨어의 고장이 아닌 ‘드라이버 충돌’이라는 소프트웨어 문제입니다.

 

드라이버란, 컴퓨터의 부품(하드웨어)과 윈도우 운영체제가 서로 대화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통역사’와 같습니다. 이 통역사들끼리 서로 다투거나, 잘못된 정보를 전달하면 컴퓨터 전체가 혼란에 빠져 멈춰버리는 것이죠. 핵심은 어떤 통역사가 문제를 일으키는지 정확히 찾아내고, 문제를 바로잡는 것입니다.

 

1. 윈도우의 건강 검진 센터, 장치 관리자

 

드라이버 문제의 단서를 찾기 위해 가장 먼저 방문해야 할 곳은 바로 ‘장치 관리자’입니다. 이곳은 우리 PC에 연결된 모든 부품의 건강 상태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종합 건강 검진 센터와도 같습니다. 복잡한 프로그램 설치 없이, 윈도우의 기본 기능만으로 문제의 원인을 찾아낼 수 있습니다.

 

장치 관리자를 여는 가장 쉬운 방법은, 키보드의 [윈도우 키 + X]를 누른 뒤 나타나는 메뉴에서 ‘장치 관리자’를 선택하는 것입니다. 창이 열리면 사운드카드, 그래픽카드, 네트워크 어댑터 등 PC를 구성하는 모든 부품의 목록이 나타납니다. 이제부터 우리는 이 목록에서 아픈 곳을 찾아내는 탐정이 되어야 합니다.

 

2. 노란색 느낌표, 문제 해결의 첫 번째 단서

 

장치 관리자 목록을 살펴보다 보면, 특정 장치 아이콘 옆에 노란색 삼각형 느낌표(!)가 붙어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윈도우가 우리에게 보내는 가장 강력한 경고 신호입니다. “이 장치의 통역사(드라이버)에게 문제가 생겼어요!”라고 알려주는 것이죠.

 

이 노란색 느낌표가 뜬 장치가 바로 드라이버 충돌을 일으키는 가장 유력한 용의자입니다. 이제 우리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첫 번째 처방을 내릴 수 있습니다. 해당 장치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고 ‘속성’ 메뉴로 들어가면, ‘장치 상태’ 창에서 어떤 오류가 발생했는지 대략적인 원인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드라이버 업데이트와 롤백, 가장 빠른 해결책

 

문제의 장치를 찾았다면, 가장 먼저 시도해 볼 해결책은 바로 ‘드라이버 업데이트’입니다. 이는 문제가 생긴 통역사를 더 유능하고 새로운 통역사로 교체해 주는 과정입니다. 문제가 발생한 장치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고, ‘드라이버 업데이트’를 선택한 뒤 ‘드라이버 자동 검색’을 누르세요. 윈도우가 알아서 안정적인 버전의 드라이버를 찾아 설치해 줄 것입니다.

 

하지만 간혹 새로 업데이트한 드라이버가 오히려 다른 장치와 충돌을 일으켜 문제를 악화시키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럴 때는 이전 버전으로 되돌아가는 ‘드라이버 롤백’ 기능을 사용해야 합니다. 같은 장치의 속성 메뉴에서 ‘드라이버’ 탭을 클릭하고, ‘드라이버 롤백’ 버튼이 활성화되어 있다면 이를 눌러주세요. 문제가 없던 이전 버전의 통역사로 되돌리는 가장 안전한 방법입니다.

 

4. 최후의 수단, 재설치라는 처방전

 

업데이트와 롤백으로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드라이버 파일 자체가 손상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때는 기존의 문제 있는 통역사를 완전히 해고하고, 깨끗한 상태에서 새로 채용하는 ‘재설치’ 과정이 필요합니다.

 

장치 관리자에서 문제가 되는 장치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한 뒤 ‘디바이스 제거’를 선택하세요. ‘이 장치의 드라이버를 제거합니다’ 옵션이 보인다면 체크하고 제거합니다. 그 후 컴퓨터를 재부팅하면, 윈도우는 통역사가 없어진 장치를 새로 발견하고, 가장 기본적인 드라이버를 자동으로 다시 설치해 줍니다. 이 과정은 꼬여있던 많은 충돌 문제를 해결해 주는 강력한 방법입니다.

 

5. 숨겨진 단서 찾기, 안정성 모니터 활용법

 

장치 관리자에는 아무런 느낌표가 없는데도, PC가 자꾸 멈추거나 블루스크린이 뜬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럴 때는 PC의 모든 활동 기록이 담겨있는 ‘안정성 모니터’라는 숨겨진 도구를 활용해 볼 수 있습니다. 이곳은 문제 발생 당시의 상황을 보여주는 CCTV와도 같습니다.

 

윈도우 시작 버튼 옆 검색창에 ‘안정성 기록 보기’라고 입력하고 실행해 보세요. 날짜별로 PC의 안정성을 보여주는 그래프가 나타날 겁니다. 여기서 빨간색 X 표시가 있는 날짜를 클릭하면, 그 시간에 어떤 프로그램이나 드라이버가 문제를 일으켰는지에 대한 결정적인 단서를 찾을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 윈도우 업데이트에서 해주는 드라이버와, 제조사 홈페이지의 드라이버는 다른 건가요?
A. 네, 다를 수 있습니다. 윈도우 업데이트는 안정성이 검증된 범용 드라이버를 제공하는 반면, 그래픽카드나 메인보드 제조사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드라이버는 해당 제품의 최신 기능과 성능에 최적화된 버전인 경우가 많습니다. 윈도우 자동 업데이트로 해결되지 않는다면, 해당 부품 제조사 홈페이지에서 직접 최신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Q. 드라이버를 제거했더니 인터넷(또는 소리)이 안돼요.
A. 정상적인 현상입니다. 해당 장치의 통역사를 해고했으니 당연히 작동하지 않는 것입니다. 컴퓨터를 재부팅하면 대부분 윈도우가 자동으로 기본 드라이버를 다시 설치해 문제를 해결합니다. 만약 인터넷 드라이버가 잡히지 않아 다른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할 수 없다면, 다른 PC나 스마트폰을 이용해 해당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하여 USB로 옮겨 설치해야 합니다.

 

Q. 블루스크린이 너무 빨리 지나가서 오류 코드를 볼 수가 없어요.
A. 그럴 때는 ‘안정성 모니터’를 확인하거나, ‘이벤트 뷰어’라는 더 전문적인 도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더 간단한 방법은 스마트폰으로 블루스크린 화면을 동영상으로 촬영한 뒤, 정지시켜서 오류 코드(예: IRQL_NOT_LESS_OR_EQUAL)나 파일 이름(예: nvlddmkm.sys)을 확인하고 구글에 검색해 보는 것입니다.

 

추가 정보 및 도움이 되는 자료

반응형